바뀌는 주택청약저축 혜택 금리와 소득공제한도 미성년자 인정기간
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정보

바뀌는 주택청약저축 혜택 금리와 소득공제한도 미성년자 인정기간

by 꿈꾸는 꿀팁천사 2023. 8. 26.
반응형

바뀌는 주택청약저축 혜택 금리 소득공제한도 미성년자 인정기간

 

안녕하세요? 생활 속 정보를 전하는 꿈꾸는 꿀팁천사입니다.

주택청약저축은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보유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온 가족이 주택청약저축 통장을 만들어 가지고 있는 가정도 적지 않습니다. 주택청약저축은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개설하지만, 금리도 높지 않고 과연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도 생기죠. 그런데, 주택청약저축의 혜택이 강화됩니다.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 주택청약저축의 금리 
  • 주택청약저축의 소득공제한도
  • 청약시 통장의 기능 강화

 

주택청약저축의 금리

 

사실 주택청약저축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많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이지만, 긴 기간 유지를 하더라도 시중 은행의 다른 적금 상품과 비교하면 그 금리가 낮은 점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작년 11월에 이미 0.3%p 올라 2.1%로 조정되었던 금리가 2.8%로 오르게 됩니다.

 

이렇게 청약저축의 금리가 오르면서 주택구입과 전세자금의 금리도 변화가 생깁니다. 

디딤돌 대출의 경우 2.15~3%였던 금리가 2.45~3.3%로 오르고, 1.8~2.4% 였던 버팀목 금리도 2.1~2.7%로 오릅니다.

 

청년우대형 종합저축의 금리도 바뀝니다.

청년우대형 종합저축은 일반청약종합저축에 비해 1.5%p 우대금리를 적용받고 있는데요. 3.6%였던 금리가 4.3%로 인상됩니다. 

 

 

청약저축통장을 오래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혜택도 강화되는데요. 장기 보유자의 경우 구입 자금의 대출 시 우대금리도 변경되어 적용됩니다. 기존의 0.2%p에서 최고 0.5%p로 우대금리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통장가입 1년 이상 0.1%p, 3이상 0.2%p <개선> 통장가입 5년 이상 0.3%p, 10년 이상 0.4%p, 15년 이상 0.5%p

 

중도에 청약통장을 해지할 경우 우대금리 적용은 받을 수 없습니다. 단, 당첨이 되어 효력이 사라진 청약통장의 해지시에는 우대금리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주택청약저축의 소득공제한도

 

주택청약저축의 장점을 이야기하라면 바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내 집 마련을 꿈꾸며 납입을 하면서 연말소득공제의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지요.

 

납입액의 40%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최대한 많이 넣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연간 납입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현재는 납입한도가 240만 원입니다. 2024년부터는 납입한도가 변경되어 30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청약 시 통장 기능 강화

 

달라지는 점의 또 한 가지는 청약 통장의 기능이 강화된다는 것인데요. 어떻게 강화된다는 것일까요?

 

① 배우자 통장 보유기간 합산

청약가점제의 청약저축 가입기간을 계산할 때 배우자의 통장 보유 기간의 1/2을 합산할 수 있고, 최대 3점까지 인정합니다. 만약 본인의 통장 보유기간이 5년이고, 배우자가 4년이라면 본인의 7점에 배우자의 1/2인 2년의 점수 3점을 더해 10점으로 계산되는 것이죠.

 

 

② 동점자 선정 시 통장 기능 강화

가점제에서 동점이 발생했을 때 추첨을 통해 선정하는 것이 아닌 통장의 장기 가입자가 우선된다는 것입니다. 통장의 가입일수 순으로 당첨자가 선정되게 됩니다.

 

③ 미성년자 인정기간

저도 아이들의 청약저축통장을 어릴 때부터 만들어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일 먼저 관심이 가는 부분인데요. 현재 미성년자의 청약통장 납입기간의 인정은 얼마나 오래 유지했던 2년입니다. 이 기간을 3년 늘린 5년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미성년자의 청약저축의 인정 총액은 240만 원입니다. 인정기간과 함께 인정총액도 60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요즘 부동산에 이런저런 의견들이 많습니다. 현재의 흐름과 이슈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무엇보다도 내가 감당할 수 있는지를 잘 따져보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청약통장을 보유하고 계신다면 바뀌는 혜택들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