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가입 조건과 만기 금액
정부에서 청년들의 취업과 사회 적응을 도우기 위해 청년들을 위한 여러 정책을 마련해 나가고 있는데요. 은행의 예,적금 금리가 5~6% 상품도 눈에 띄는 요즘 청년희망적금은 어떤 상품인지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인지 가입 조건과 만기 금액,신청기간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조건
-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금액
- 청년희망적금의 신청기간
VV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조건
적금 상품을 처음 가입할 때는 만기를 꿈꾸며 매달 통장으로 돈을 넣기 시작하지만, 넣다보면 금액이 부담스럽거나 또 다른 이유로 꾸준히 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청년희망적금도 처음 소개되었을 때에는 많은 청년들이 가입을 했지만, 주변의 지인들의 경우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도 보았는데요.
청년희망적금은 만 19세~34세의 일정 조건이 충족되는 청년들을 위한 지원제도입니다.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이어야 하고, 종합소득금액의 경우 2,600만원 이하일 때 가입이 가능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자유적금으로 매달 50만원 한도 내에서 입금할 수 있습니다. 매달 불입액은 자유롭게 정할 수 있지만, 50만원을 초과할 수 는 없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금액
꾸준히 매달 일정액을 넣어 2년이 지난 후에 받게 되는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금액은 과연 얼마일까요?
만기금액은 은행과 개인별로 다르고, 소득에 따라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할수도 불가능할수도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는 모든 청년은 2년 동안 유지해야 하고, 금리는 5%입니다.
납입하는 금액이 얼마냐에 따라서 정부 지원금이 달라집니다. 이 정부지원금은 만기 해지시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바꾸어 말하면 중도에 해지하게 되면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다는 것이지요.
만기 해지시 1년차 납입한 금액의 2%, 2년차 납입한 금액의 4%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이기 때문에 일반 적금상품보다도 훨씬 높은 금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월 최대 50만원을 2년 동안 넣었다고 가정할 때 원금 1천 2백만원, 정부 지원금 36만원, 금리 6%를 계산하면 12,985,000원에 조금씩 달라지는 우대 금리분이 더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신청기간
청년희망적금은 지금은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올해 6월부터 청년희망적금이 청년내일저축계좌로 변경되었기 때문인데요.
목돈 마련을 원하는 19세~34세의 청년이라면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상품인 청년내일저축계좌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뀌는 주택청약저축 혜택 금리와 소득공제한도 미성년자 인정기간 (0) | 2023.08.26 |
---|---|
2023 바뀌는 다자녀 기준과 혜택 (0) | 2023.08.21 |
카카오뱅크 미니 교통카드 충전 방법과 연말정산, 재발급 방법 (0) | 2023.08.14 |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취업준비 발급방법과 대상자 (0) | 2023.08.10 |
프리랜서 세금 3.3% 환급 방법과 절세 방법 (0) | 2023.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