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 아이랑 가 볼만한 곳 일일 체험 코스 추천
안녕하세요? 생활 속 유익한 졍보를 전하는 꿈 꾸는 꿀팁천사입니다.
방학은 아이가 시간적으로 여유가 많아지니 평일에도 체험을 가거나 훌쩍 여행을 떠날 수 있어 좋아요. 체험을 평일에 가면 좋은 점은 사람이 붐비지 않아 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거예요. 오늘은 서대문 근처 아이랑 가볼 만한 곳 중 일일체험 코스를 알려드릴게요.
목차
- 백범 김구의 암살 현장 경교장
- 우리나라 최초 바이올리니스트 홍난파의 집
- 조선을 사랑했던 테일러부부의 집 <딜쿠샤>와 권율장군 집터
백범 김구의 암살 현장 경교장
사적 제465호로 등재되어 있는 <경교장>은 해방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공간이자, 백범 김구 선생이 암살된 역사적인 현장이에요. 서울시에서 경교장을 복원하고 내부를 전시장으로 만들어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알리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서대문역에서 5분 정도의 거리에 있는 강북삼성병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요.
세 공간으로 나뉘어 있는 경교장은 1층에 김구 주석이 회의를 하거나 국내외 손님들을 접견하는 장소로 사용했던 응접실과 손님들을 접대하던 식당이자 김구 주석의 서거 당시 빈소로 사용되었던 귀빈식당, 영상실 등이 있어요. 1층을 둘러보고 나면 지하의 전시실로 내려가 백범 김구 선생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함께 한 역사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어요.
지하에서 경교장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를 이해했다면, 2층으로 올라가 김구 선생의 침실과 집무실을 둘러봅니다. 집무실 창가의 책상은 김구 주석이 암살되기 직전 머물렀던 곳으로 창문에 있는 총탄의 흔적이 그날의 느낌을 생각해 보게 하지요. 갈 때마다 느끼는 점이지만, 아이랑 함께 우리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볼 수 있는 아주 소중한 공간이에요.
▶이용정보
관람시간: 화~일요일 9시~18시
휴관일: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 1월 1일
관람료: 무료
우리나라 최초의 바이올리니스트 홍난파의 집
경교장 체험이 끝났다면 이제 우리에게 익숙한 가곡과 동요를 남긴 작곡가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바이올리니스트인 홍난파의 집을 들러보길 추천해요. 홍난파의 집은 1930년 독일계 선교사의 가옥으로 지어진 곳으로 홍난파가 1935년부터 6년간 거주하면서 말년을 보낸 곳이에요. 홍난파가 이 집에 머무르던 시기에 대표작 중의 많은 곡들이 만들어졌어요.
아파트 단지 옆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2층으로 올라가야 해요. 엘리베이터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 홍난파의 집이 있어요. 외관만 보고도 감탄이 나와요. 너무 예쁘거든요. 홍난파의 집은 홍난파와 우리나라 음악사를 알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당시 서양식 주택의 특징을 볼 수 있는 건물이기도 해요.
조선을 사랑했던 테일러 부부의 집 <딜쿠샤>와 권율 장군 집터
홍난파의 집에서 우리나라의 근현대 음악에 대해 알게 되었다면, 이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딜쿠샤로 향해요. 사직터널 위의 길을 따라 쭉 걸어요. 공영주차장을 지나 조금 더 걸어가면 붉은 벽돌집이 보이는데, 그곳이 바로 딜쿠샤랍니다. 페르시아어로 '기쁜 마음'이라는 뜻을 가진 딜쿠샤 바로 옆에는 권율장군의 집터가 있어요. 표지석과 함께 500년 가까이 된 커다란 은행나무가 서 있지요.
딜쿠샤는 권율 장군의 집터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업가이자 연합통신의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세계에 3.1 운동에 대해 알린 앨버트 테일러 부부가 지은 집이에요. 앨버트 테일러의 부인 메리가 은행나무에 반해 이곳에 집을 짓고 싶어 했다고 해요.
딜쿠샤의 내부는 당시의 모습으로 보전, 재현되어 전시관으로 활용되고 있고, 해설사가 상주해 있어 자세한 설명을 함께 들을 수 있답니다.
▶이용안내
관람시간: 화~일요일 9시~18시(17시 30분까지 입장 가능)
휴관일: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 1월 1일
관람료: 무료
백범 김구 선생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취업사관학교에서 교육 받고 취업지원 받아요 (0) | 2023.08.01 |
---|---|
근로자녀장려금의 신청방법과 확대되는 내용을 확인해요 (0) | 2023.07.31 |
서울시에서 자립준비청년에게 자립정착금 2000만원 지원해요 (0) | 2023.07.29 |
난임부부 시술비 신청하기 소득에 상관없이 지원? (0) | 2023.07.26 |
2023 청년 일자리 도약장려금 1인당 최대 1200만원 지원 대상자는? (0) | 2023.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