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총 지원금액
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정보

서울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총 지원금액

by 꿈꾸는 꿀팁천사 2024. 5. 2.
반응형

서울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총 지원금액

 

몇년 전까지만 해도 동네에서 아이들이 많이 눈에 띄었는데, 해가 갈 수록 어린 아이들을 보기가 참 힘들어졌습니다.

이제 낮아진 출산율이 체감될 정도로 학교의 학급수도 크게 줄었지요. 출산 장려를 위해 정부도 여러가지 제도를 마련하며 고군분투하고 있는데요.

그 중 관심을 끄는 제도가 또 하나 생겼어요.  서울시에서 전국 최초로 실시하는 자녀를 출산 무주택 가구에 주거비에요. 오늘은 주거비 지원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목차

  • 주거비 지원 대상
  • 지원 내용
  • 신청시기와 신청방법

주거비 지원 대상

 

결혼과 출산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주택 소유입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부부가 그렇지 않은 부부에 비해  서울시의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에 지원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누구일까요?

그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자녀를 출산하거나 입양한 무주택가구의 부모일 경우 가능한데요. 출생하는 아이와 부모의 주민등록이 서울이고, 주민등록상 부모와 같은 주소이어야 해요.

입양한 경우는 태어난 날로부터 48개월 이하일 경우 신청이 가능해요.

임차 주택의 경우 소재지가 서울이어야 하는데, SH와 LH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제외됩니다.

 

만약 위의 지원자 조건에 해당된다면 무조건 신청을 해서 혜택을 받아야 하겠죠? 무려 2년간이나 지속되는 혜택이고, 그 지원금도 상당한 만큼 놓치지 않고 혜택을 받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지원 내용

 

지원대상에 해당된다면 출생한 아이 1명당 매달 30만원 씩 지원받을 수 있어요. 지원기간이 최초 신청일부터 2년간 지속되는데, 총 지원금을 계산해보면  720만원이에요. 또 쌍둥이이거나 그 이상 다태아의 경우는 태아 수에 비례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답니다.

부모 중 한명이 한국인이고, 출생한 아이가 한국 국적이라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가구가 대상이니 기억하세요!

 

 

 

 

임차 주택의 경우 제한이 있으니 그 조건도 확인해보는 것이 좋아요. 

서울에 소재해야 하며, 전세인 경우 7억원 이하, 월세인 경우 268만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월세인 경우는 보증금이 있으니 그 금액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어요.

그리고 또 중요한 한가지!

지원을 받는 도중 주택을 구매하거나, 서울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전출할 경우 지원이 중단됩니다.

신청시기와 신청방법

 

자녀출산 무주택 주거비 지원은 내년부터 시행되고, 자녀가 출생하거나 입양한 날로부터 6개월 내에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은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