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저널 그날 고려거란전쟁을 부른 현종의 즉위
주변의 나라들이 모두 원했던 고려청자를 만들고, '코리아'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할만큼 뛰어난 문화의 발전이 있었던 고려시대는 주변국들로부터 끊임없이 침략을 받았던 시대이기도 합니다. 그 시작이 10세기 말부터 11세기 초에 걸쳐 이어진 거란의 침입이지요. 1차 침입은 성종12년(993년), 2차와 3차 침입은 현종2년(1010년), 현종9년(1018년)에 있었는데요.
거란의 침입의 원인, 즉 고려거란전쟁의 불씨가 된 것이 현종이라고 합니다. 역사저널 그날에서는 현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이었어요.
목록
- 현종의 출생 비밀
- 강조의 정변으로 즉위한 현종
- 고려거란전쟁의 불씨가 된 현종
- 고려판 세종대왕, 현종의 업적
현종의 출생 비밀
현종의 아버지 왕욱은 왕건의 8번째 아들입니다. 왕욱의 어머니 신성왕후는 신라 경순왕의 친척으로 현종은 고려와 신라의 핏줄을 모두 잇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사실은 현종의 아버지 왕욱과 어머니 헌정왕후의 관계입니다.
원래 왕욱과 헌정왕후는 숙부와 조카로 근친관계이며,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종을 낳았어요.
물론 고려시대에는 근친혼이 그리 문제되는 일은 아니었어요. 문제는 헌정왕후가 선왕인 경종의 왕후이자 성종의 여동생이라는 점입니다. 왈실에서도 높은 신분인 왕후가 삼촌과의 근친상간으로 사생아를 낳았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다시 말하면 현종은 아버지는 태조 왕건의 아들, 어머니는 태조 왕건의 손녀로 친척관계가 꼬이고 꼬여버렸어요.
여러 평가가 엇갈리는 천추태후가 사촌누나이면서 이모가 되고, 어머니인 헌정왕후의 경우도 어머니이면서 사촌누나가 되는 웃지 못할 관계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강조의 정변으로 즉위한 현종
아버지 왕욱이 죽은 뒤 자상하게 보살펴주던 외삼촌 성종이 세상을 뜬 후 뒤를 이어 즉위한 인물은 바로 경종의 아들 개령군(목종)이었어요. 사생아이기는 하지만, 엄연한 왕족인 현종은 목종의 어머니인 천추태후의 경계를 받았어요.
결국 현종의 머리를 깎아 양주 삼각산에 있는 신혈사(현재 북한산의 진관사)라는 절에 승려로 보내버립니다. 그러고도 마음이 놓이지 않았던 천추태후는 몇 번이나 자객을 보내 현종을 제거하려 시도했지요.
위기에 놓인 현종을 도왔던 사람은 바로 천추태후의 아들 목종과 신혈사의 승려 진관이었어요. 특히 자식이 없었던 목종은 자신이 죽으면 뒤를 이을 사람이 태조 왕건의 적자에게서 태어난 현종뿐이라 생각했던 것이죠.
그 후 목종 12년(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목종이 시해당하고, 현종이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어요.
고려거란전쟁의 불씨, 현종
고려거란전쟁의 불씨가 된 것이 현종이다? 과연 그럴까요?
현종 즉위 후 2년 거란의 성종이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고려를 침략해 왔어요. 거란의 2차 침입이죠.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한 성종을 막고자 나선 인물은 강조였어요. 하지만 강조는 거란군에 붙잡혀 목숨을 잃었어요.
2번째 고려거란전쟁에서 처음으로 고려의 수도 개경이 거란에 함락되었는데, 현종은 이때 전라도 나주로 몽진을 하게 됩니다. 몽진길에 지방 호족들로부터 위협을 받고, 직접 뛰어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현종은 무사히 몽진을 마치게 된답니다. 수도가 함락되는 큰 위기를 겪기는 했지만, 양규와 지채문의 활약으로 2번째 거란의 침략을 잘 극복하게 되었죠.
고려판 세종대왕, 현종의 업적
고려의 세종대왕으로 불리는 현종은 어떤 업적들을 남겼을까요?
① 초조대장경판을 만들었어요.
훗날 몽골의 침략으로 사라져버리지만, 세계 두번째의 한역대장경으로 산스크리트어로 되어 있는 대장경 원전을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에요. 고려의 뛰어난 목판인쇄술을 보여주는 부분이에요.
<팔만대장경>도 이 <초조대장경>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답니다.
② 개경에 나성을 축조했어요.
강감찬의 건의로 1009~1029년에 걸쳐 나성을 쌓았어요.
③ 5도 양계 체제의 군현제를 확립했어요.
고려시대의 본격적인 지방 제도를 정비한 왕이 바로 현종이에요. 전국에 4도호부, 8목, 56지주군사, 28진장, 20현령을 두어 지방 호족 세력을 억누르고 왕의 권한을 강화시켜 중앙집권 정치체제를 완성했어요. 5도 양계 체제인 경, 목, 도호, 군, 현, 진의 군현제의 바탕을 만들었어요.
④ 거란의 2차, 3차 침입을 막아냈어요.
양규와 강감찬 등의 활약으로 2차, 3차 고려거란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어요. 강감찬이 귀주대첩에서 승리를 거둔 때가 1019년, 27세의 현종은 강동 6주를 되찾으려는 거란을 막아내는데 성공했어요. 전쟁에 나아가 목숨바쳐 싸운 이들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당시의 상황을 현명하게 판단하고 이끌 수 있는 현종의 역할이 훌륭했다는 점은 분명한 것 같네요.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꼬무 숭례문 방화 사건 16년 전 화재 누가 왜? (0) | 2024.11.21 |
---|---|
그것이 알고 싶다 1418회 삼전동 방화 살인 사건 사라진 1시간과 13가닥 머리카락 범인은? (0) | 2024.11.03 |
꼬꼬무 서커스 소녀 심주희 (0) | 2024.02.15 |
벌거벗은 한국사_세조와 현덕왕후의 저주 (0) | 2023.10.11 |
벌거벗은 한국사_중종의 여자 경빈 박씨 작서의 변의 범인이 되다 (0) | 2023.07.20 |
댓글